자동차의 제조 과정에는 여러 핵심 공정 기술이 포함된다. 최신 트렌드에 따라 공정도 인력 투입을 최소화 시키고 자동화 하면서 간소화 된 작업도 있으나 크게는 아래와 같은 공정 기술을 거친다.
프레스 공정
차량 제조의 첫 단계로 강한 압력을 사용하여 철판을 원하는 형태의 패널로 성형한다. 최근에는 조립과정에서 용접을 최소화 하기 위해 바디 형상을 한 번에 찍어내는 프레스 공정이나, 양복을 제단하듯 특정 부위에 필요한 강성과 목적에 맞는 강판을 배치하고 한번에 성형을 하는 공법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차체 조립공정
프레스 공정을 거친 패널들은 조립 단계를 거쳐 차체의 골격을 형성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접합 기술이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는 점용접이 사용된다. 또 아래와 같은 용접 방법이 사용되어 차체 패널을 결합하게 된다.
- 전기 저항점 용접
- CO2 용접
- 레이저 용접
- 접착제 사용
이러한 과정에서 수밀성을 확보하고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실런트를 도포하는 기술과 공정도 포함된다.
도장 공정
도장은 도료(페인트)를 칠하는 공정으로, 차량의 심미성을 높이고 부식으로부터 차체 패널을 보호하여 강성과 기능을 유지하게 한다. 도장 공정과정에서 이물질이 침투하면 심미성을 해치고 기능 저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깨끗한 환경에서 이루어지고, 로봇에 의해 작업된다.
의장 공정
차량의 차체를 완성했으면 차량 내/외부의 부품을 조립해야한다. 의장 공정에서는 엔진, 변속기, 차축, 계기판, 시트 등 수많은 부품이 조립되며 정밀한 기술을 요하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진행이 된다.
검사/검수 공정
완성된 차량은 검사와 테스트를 거치게 되는데 휠 얼라인먼트 조정, 브레이크 테스트, 배기가스 테스트, 도로주행 테스트 등이 포함된다.
상기의 커다란 5가지 공정을 거치며 하나의 자동차가 만들어진다. 각 단계별로 신기술 확보와 채택에 따라 완성도와 정밀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적은 공수로 높은 품질의 차량이 생산될 수 있다.
'자동차 > 설계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개발 관련 용어 (0) | 2024.12.01 |
---|---|
자동차 부위별 강판소재 (0) | 2024.11.19 |
자동차 차체설계 - 5 (1) | 2024.11.18 |
자동차 차체설계 - 4 (1) | 2024.11.17 |
자동차 차체설계 - 3 (2) | 2024.11.14 |